인천 자립준비청년 2명 중 1명 ‘경제적 자립’ 고통 > 뉴스자료

고아연대소식

뉴스자료
고아연대소식 뉴스자료

뉴스자료

고아권익연대가 함께하겠습니다.

인천 자립준비청년 2명 중 1명 ‘경제적 자립’ 고통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고아권익연대관리자
댓글 0건 조회 88회 작성일 24-08-30 17:15

본문

2명 중 1명꼴… 일자리·주거 문제도
보호종료 후 사회경험 부족이 원인 “자활사업 등 통합적 지원 체계 필요”
29일 인천시의회 세미나실에서 열린 ‘인천시 자립준비청년 지원정책 개선방안’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박귀빈기자29일 인천시의회 세미나실에서 열린 ‘인천시 자립준비청년 지원정책 개선방안’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박귀빈기자

 

인천의 자립준비청년 2명 중 1명 꼴로 경제적 자립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안팎에선 보호종료를 앞둔 자립준비청년들이 스스로 일어설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청소년자립지원관 확대 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29일 인천여성가족재단에 따르면 최근 5년 간 아동양육시설 등에서 생활하다 보호종료(18세 이상)가 이뤄진 자립준비청년은 540명에 이른다. 미추홀구가 125명으로 가장 많고, 부평구 110명, 남동구 101명, 서구 69명 순이다. 이어 중구 35명, 연수구 34명, 계양구 32명, 강화군 22명, 동구 7명, 옹진군 5명 등이다.

 

재단이 이들 중 284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55.8%가 ‘경제적 문제’로 자립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일자리 문제(47.4%)’, ‘주거문제(38.7%)’, ‘학업문제(17.2%)’, ‘건강문제(12%)’ 등의 순이다.

재단은 이들이 아동복지시설, 청소년복지시설, 소년보호시설 등을 표류, 퇴소 및 보호종료 이후 자립 과정에서 사회경험 부족 문제로 자립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청소년복지시설 및 소년보호시설 퇴소 청년 중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한 경우는 각각 18.8%, 28.2%이다.

 

특히 시설을 퇴소한 뒤 많은 청소년들이 주의력결핍과다행동장애(ADHD), 경계성 지능, 사회적 의사소통 장애, 우울증, 자폐 등의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자립준비청년들의 자립 역량을 키우고, 전반적인 사례 관리가 가능한 청소년 자립지원관 등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인천의 청소년 자립지원관은 2곳 뿐으로, 자립지원요원 1명이 8명을 사례관리 하고 있다.

 

박주은 재단 선임연구위원은 “자립 훈련과정은 자립지원요원과의 동반을 통한 습관화 훈련이 반복되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자립지원관의 수요가 늘고있는 만큼, 시설 확대 및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며 “또 자립지원관 안에 자활작업장 등을 구축해 체계적인 자립훈련을 도와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날 인천시의회와 인천의정네트워크의 ‘인천시 자립준비청년 지원정책 개선방안 토론회’에서는 자립준비청년의 통합적인 지원 체계 마련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이상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아동가족정책연구센터장은 “현 아동·청소년 지원체계가 사업별 주무부처 별로 다르기에 예산 규모, 지원 대상 및 기간 등 자립지원에서의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인천시 자립준비청년 등의 자립 지원에 관한 조례’ 개정을 통해 지원체계에 대한 통합 지원이 가능토록 해야한다”며 “보호대상의 누락과 서비스의 중복 및 격차 등을 예방하고, 사각지대에 놓인 모든 자립준비청년들에게 똑같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송원섭 인천시 청소년자립지원관장은 “자립 청년 중 연락이 두절된 고립·은둔 청년들을 찾아 환경변화 및 자활시킬 수 있는 사례관리 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 정신질환을 가진 자립 청년들이 치료를 동반한 생계 유지가 가능하도록 도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