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2명은 연락두절”…자립 전부터 지원 나서야 > 뉴스자료

고아연대소식

뉴스자료
고아연대소식 뉴스자료

뉴스자료

고아권익연대가 함께하겠습니다.

“10명 중 2명은 연락두절”…자립 전부터 지원 나서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고아권익연대관리자
댓글 0건 조회 474회 작성일 24-05-16 11:35

본문

앵커


자립준비 청년들을 위한 정부의 전담기관이 있습니다.

하지만 자립준비 청년 10명 가운데 2명은 연락조차 닿지 않아서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여소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4살 때부터 할머니와 함께 지낸 유환준 씨.

25살이 돼서야 자신이 자립준비청년이란 걸 알게 됐습니다.

1년 전 취업을 위해 서울로 왔다가 전담 기관의 연락을 받은 겁니다.

[유환준/자립준비청년 : "'너를 도와줄게'라고 연락이 와서... 자립준비청년이라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 친구들도 많거든요."]

이렇게 뒤늦게 지원을 받는 경우도 있지만, 자립준비청년 10명 가운데 2명은 연락조차 되지 않는 상황입니다.

전국 17개 시도에 둔 자립지원전담기관은 취업·주거·심리상담 등을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낯선 전담기관에 쉽게 마음을 열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준선/초록우산 경기지역본부 사회복지사 : "기관이 바뀌어서 (사후 관리가) 진행이 되는 거여서 당장 잘 모르는 사람에게 나의 상황이나 이런 이야기들을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친구들이 사실 많지 않다 보니..."]

이 때문에 자립해야하는 18세 이전부터 사회적 지지 기반이 형성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상정/한국보건사회연구원 아동가족정책연구센터장 : "아동기에 경험하는 트라우마 경험들이 성장하면서 유아기·아동기·청소년기 때 잘 관리돼야 되는 거예요. 보호 종료 후에 자립 지원 서비스를 줬을 때도 더 효과적이고..."]

실제로 보호시설 등을 나온 이후 소득 수준이나 심리적 상태가 갈수록 나빠지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김민정/초록우산 복지사업본부 팀장 : "우울감도 오히려 첫 해보다 2~3년이 지나면은 더 증가하는 그런 수치들을 볼 수가 있거든요. 5년 이후가 더 힘들다. 왜냐하면 자립 수당(지원)이 끝나기 때문에..."]

정부가 2년 만에 약 2배로 정원을 늘리곤 있지만, 여전히 전담 인력 1명이 자립 청년 40여 명을 관리하는 수준입니다.

KBS 뉴스 여소연입니다.

촬영기자:김경민 하정현 서원철/영상편집:최근혁/그래픽: 채상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후원하기